21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 프로필

이재명 후보는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성남시 공단에서 소년공으로 일하며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한 인권변호사 출신 정치인입니다.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를 역임하며 복지 정책과 민생 중심의 개혁을 추진해왔으며, 현재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출마하였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21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 프로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21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 프로필

성장 배경과 학력

이재명 후보는 1964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습니다. 유년 시절은 매우 가난한 환경 속에서 보내야 했으며, 여섯 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나 가족의 생계를 위해 어린 시절부터 공장에서 일해야 했습니다. 성남시 상대원 공단에서 일하던 그는 산업재해를 겪으며 노동자의 현실을 몸소 체험하게 됩니다. 이 같은 배경은 훗날 그의 정치적 철학과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배움에 대한 의지를 놓지 않았던 그는 검정고시를 통해 중·고등학교 과정을 마쳤고, 중앙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하여 사법시험에 합격하게 됩니다. 그의 학업 과정은 많은 이들에게 ‘흙수저의 성공 신화’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법조인으로서의 시작과 인권변호사 활동

이재명은 사법시험 합격 후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에 힘썼습니다. 특히 노동자, 장애인, 여성 등 소외된 이웃의 편에서 싸우며 ‘시민의 변호사’라는 별칭을 얻었습니다. 그의 초기 변호사 경력은 공익과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발판이 되었고, 정치 입문의 기반을 다지게 됩니다.

정치 입문과 성남시장 재임 시절

그는 2010년 성남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후 2014년 재선에 성공하며 두 번의 임기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재임 중에는 ‘무상복지 3종 세트(청년배당, 무상교복, 무상산후조리)’ 정책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고, 복지에 대한 철학과 실행력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시의 부채를 청산하고 건전 재정을 이룩한 점도 그의 행정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기도지사로서의 주요 정책과 성과

2018년 경기도지사로 당선된 이재명은 도정 운영에서도 복지와 공공성을 중심에 둔 정책을 지속해왔습니다. 기본소득, 기본주택, 기본대출이라는 ‘기본 시리즈’ 정책은 사회적 안전망 확대를 위한 그의 대표적인 구상입니다. 특히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경기도형 재난기본소득을 전국 최초로 도입하여 전국적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는 중앙정부의 정책에 영향을 주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경기도지사 재임 중 그는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 불법 사채 근절 정책, 공공병원 확대 등을 추진하며 실용적 개혁을 실현해왔습니다. 그의 도정은 추진력과 정책의 구체성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국회의원 활동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후에도 정치적 활동을 이어가며, 더불어민주당의 대표로 선출되어 당을 이끌고 있습니다. 국회의원으로서는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을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입법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경제민주화와 불공정 개선을 위한 법안 발의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배경과 공약

이재명 후보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면서, ‘기본소득’, ‘기본주택’, ‘기본금융’을 중심으로 한 “기본국가” 구상을 내세웠습니다. 그는 “공정하고 기회가 보장된 나라”, “누구나 인간답게 사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 민생 경제 회복, 기후위기 대응, 과학기술 혁신 등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산업 육성, 탈탄소 경제로의 전환, 청년 및 중산층 지원 확대 등 다양한 사회·경제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재명 후보의 정치적 비전과 향후 계획

이재명 후보는 정치권에서 ‘실행력 있는 개혁가’라는 이미지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는 기득권 해체, 공정한 기회 제공, 복지 확대, 경제 정의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실 가능한 정책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치, 국민 중심의 행정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향후 그는 국회의원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당 대표로서 더불어민주당의 혁신과 단결을 이끌며 다음 총선 및 대선을 준비하는 중심 인물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년 근로기준법 연차, 월차, 반차 기준 총정리

error: Content is protected !!